aurawe

aurawe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3. 29.

    by. aurawe

    목차

      AI로 만드는 뉴스레터 콘텐츠 플로우 – 기획부터 발송까지 자동화하는 스마트 전략


      1. 뉴스레터 자동화: 개인 브랜딩과 수익화를 동시에 잡는 전략

      뉴스레터는 더 이상 기업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블로그 운영자, 1인 크리에이터, 프리랜서, 교육자, 마케터 등 누구든지 구독자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콘텐츠를 통해 신뢰를 쌓고, 브랜드를 성장시키는 채널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지속성’이다. 뉴스레터는 주기적인 발송이 핵심인데, 매번 주제를 고민하고, 내용을 작성하고, 디자인을 구성하고, 링크를 정리하는 일이 생각보다 번거롭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AI를 활용한 뉴스레터 콘텐츠 자동화 플로우다.

      이 글에서는 기획 → 작성 → 디자인 → 발송 → 분석까지의 전체 과정을 어떻게 자동화할 수 있는지 단계별로 정리한다.


      2. 1단계 – 콘텐츠 기획: ChatGPT로 아이디어 뽑고 캘린더 만들기

      ChatGPT는 뉴스레터 주제를 기획할 때 가장 강력한 도구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입력해보자:

      “AI 도구를 주제로 한 주간 뉴스레터를 작성할 예정이야. 20대 직장인 타깃으로 4주치 콘텐츠 주제와 제목을 제안해줘.”

      이렇게 하면 4주 분량의 제목과 구성 아이디어를 한 번에 얻을 수 있다. 이후 이 아이디어를 Notion이나 Google 스프레드시트에 정리하면 뉴스레터 콘텐츠 캘린더가 완성된다.

      또한 ChatGPT에게 “이 주제에 대한 요약 포인트 3가지와 간단한 인사이트를 줘”라고 요청하면, 본문 구성의 핵심 아이디어도 빠르게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주제 선정과 핵심 내용 정리가 한 번에 끝나는 기획 자동화가 가능하다.


      3. 2단계 – 본문 작성: AI와 협업하는 대화형 글쓰기

      뉴스레터 본문 작성은 ChatGPT의 진가가 가장 잘 드러나는 단계다. 단순히 글을 써달라고만 할 게 아니라, 구체적인 조건을 함께 입력하자:

      “너는 친근한 문체의 작가야. 20~30대 직장인에게 ‘AI 시간관리 도구’를 소개하는 뉴스레터 본문을 700자 정도로 써줘. 정보는 간결하게, 말투는 부드럽게, 마지막엔 독자 행동 유도 멘트도 넣어줘.”

      이렇게 요청하면 상당히 실용적인 초안이 나온다. 이후에는 글의 분위기 조절이나 문장 수정 요청도 쉽게 가능하다:

      • “좀 더 유머러스하게 바꿔줘.”
      • “전문가 느낌이 나게 수정해줘.”
      • “포인트를 강조하는 마크다운 형식으로 바꿔줘.”

      이 과정을 통해 뉴스레터를 단순 자동작성하는 수준이 아니라, 대화형 협업을 통해 콘텐츠 품질을 높이는 단계로 끌어올릴 수 있다.


      4. 3단계 – 디자인 구성: BeeFree, Canva로 레이아웃 완성

      뉴스레터 디자인 자동화에는 두 가지 추천 툴이 있다:

      ① BeeFree (beefree.io)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쉽게 뉴스레터 디자인을 만들 수 있고, 반응형 이메일 템플릿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다. 만들어진 뉴스레터는 HTML로 추출하거나, 이메일 발송 플랫폼으로 바로 연동 가능하다.

      ② Canva

      Canva는 정적인 이미지 뉴스레터나 카드형 콘텐츠, 헤더 이미지, 버튼 디자인 등을 만들기에 적합하다. 특히 템플릿 기능과 AI 자동 디자인 추천을 활용하면, 시각적으로 깔끔하면서도 일관성 있는 뉴스레터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도구를 함께 활용하면, 비전문가도 손쉽게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반영된 뉴스레터 시각 자료를 구성할 수 있다.


      5. 4단계 – 발송 자동화: MailerLite + RSS 연동 시스템

      발송 자동화의 핵심은, 내가 콘텐츠를 만들면 자동으로 구독자에게 보내지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플랫폼은 아래와 같다:

      • MailerLite: 무료로 사용 가능한 뉴스레터 플랫폼. RSS 피드를 자동으로 감지해, 새로운 블로그 글이 올라오면 자동 발송이 가능하다.
      • Buttondown: 간결한 인터페이스로 글만 잘 쓰면 발송까지 빠르게 마무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 뉴스레터 플랫폼.
      • Revue (종료됨): 트위터 기반 뉴스레터 플랫폼이었지만, 현재는 MailerLite나 ConvertKit이 대체로 활용된다.

      MailerLite에서 “새 글이 올라오면 → 구독자에게 자동 메일 발송”을 설정해두면, 콘텐츠만 작성해도 구독자 관리부터 발송까지 자동화가 이루어진다. 여기에 Zapier를 연결하면, Notion이나 Google Docs에서 작성한 내용도 자동 발송 트리거로 활용 가능하다.


      6. 5단계 – 성과 분석: ChatGPT와 함께 리포트 해석하기

      뉴스레터 발송 후에는 반드시 성과 분석이 필요하다. 오픈률, 클릭률, 이탈률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어떻게 해석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MailerLite, Mailchimp 등에서는 기본적인 분석 리포트를 제공하지만, 이 데이터를 ChatGPT에게 해석하도록 요청해보자:

      “이 뉴스레터 리포트를 바탕으로, 어떤 부분을 개선하면 좋을지 간단히 분석해줘.”

      그러면 AI가 데이터를 요약하고, “제목 클릭률이 낮으니 더 매력적인 제목을 실험해보세요” 같은 실용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런 방식으로 분석 → 개선 → 재발송의 피드백 루프를 자동화하면, 시간이 갈수록 뉴스레터의 품질은 더 높아진다.

       

       

      ai chatgpt


      7. 결론: AI 뉴스레터는 기술이 아닌 전략이다

      AI로 만드는 뉴스레터는 단순히 기술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콘텐츠 전략과 브랜드 메시지를 얼마나 일관되고, 지속 가능하게 운영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시스템 설계다.

      기획, 작성, 디자인, 발송, 분석이라는 복잡한 과정을 AI와 자동화 도구를 활용해 간결하게 줄이면, 당신은 더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부분에 집중할 수 있다. 구독자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운영자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것. 이것이 진정한 콘텐츠 자동화의 의미다.

      이제는 AI가 ‘대신 써주는’ 도구가 아니라, ‘같이 만드는’ 협업 파트너다. 당신의 뉴스레터도 오늘부터 그 협업을 시작해보자. 꾸준함은 AI가 도와줄 수 있고, 진정성은 당신만이 줄 수 있다.